Turn customer needs
into reality
SAMJINCONCRETE
연혁&인증현황
(주)삼진콘크리트 연혁
(주)삼진콘크리트는 1978년 설립이래, 독자적인 연구와 기술개발로 콘크리트공업 분야의 전문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하여 왔으며, 회사의 발전과 환경의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삼진콘크리트는 앞으로도 고객과 사회 환경에 이바지하는 건실한 기업으로서 발전해 나아가겠습니다.
2012 | 03 마일드스톤블록(커링)블록 설비 신설 |
2011 | 02 환경표시인증(EL745, 블록) 04 모범납세자표창 06 모범납세자 우대홍보관 개관 – 삼진 샌딩블록 전시 09 단체표준표시인증 -(SPK-KCIC0001-0703 /콘크리트 호안 및 옹벽블록) |
2010 | 02 경계블록 특허출원 (특허 제 10-0871865호) |
2009 | 01 식재블록 특허출원 (특허 제 10-0880887호) 07보강토 옹벽용 볼록 (포트리스) 품질인증 (인증번호: 2009-47) 08 샌딩(인조화강블록) 2호기 증설 |
2008 | 04 한국산업규격(KS)표시인증 획득 – KS F 4561/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선형, 점형) 12 샌딩(인조화강블록) 설비신설 |
2006 | 02 자동유압성형기 시스템 (GOLD-2002) 2기 신설 국내최대시설, 최대생산량, 최고 품질 |
2005 | 02 (주)삼진콘크리트 법인전환 08 공장이전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693-1 |
2002 | 01 삼진 콘크리트 대표 서울특별시 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취임 03모범납세자 표창 |
1999 | 07 한국산업규격(KS)표시인증 획득 – KS F 4001 (보도용 콘크리트판),KS F 4004(콘크리트판) KS F 4419(콘크리트 인터로킹블록)12제2공장 증설 – 전공정 자동유압성형기 시스템(PRIMA-85)시설 |
1995 | 01 제1 공장 설비시설 – 전공정 자동유압성형기 시스템(D-H5)시설 10한국산업규격(KS)표시인증 획득 – KS F 4006/보차도용 콘크리트 경계블록, 도로용경계블록 |
1987 | 02 공장이전 – 서울툭별시 은평구 진관동 304-12 |
1978 | 04 삼진콘크리트 회사설립 – 서울시 도봉구 중계동소재 콘크리트 토목자재 사업시작 08 서울특별시 콘크리트 공업협동조합 가입 |
(주)삼진콘크리트 인증현황
KS표시 인증 제도는 산업표준화법 제 11조 내지 제 13조의 규정에 근거를 두고 한국산업규격이 제정되어 있는 품목중 품질의 식별이 쉽지 않아서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정한 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해당 제품의 심사기준, 즉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엄격히 심사하고, 별도의 제품심사를 실시한 후 합격된 업체에 대하여 KS마크를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는 인증제도 입니다.
1. 생산공장이 기술적인 면에서 KS수준 이상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조건.
2. 객관적인 면에서 항상 시스템적으로 같은 기술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활동을 전사적으로 추진.
번호 | 규격번호 | 규격명 | 업체명 | 인증번호 | 인증일자 |
1 | KS F 4006 | 콘크리트 경계블록 | (주)삼진콘크리트 파주공장 | 제KCL-18-011호 | 2018.01.10 |
2 | KS F 4419 |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 (주)삼진콘크리트 파주공장 | 제KCL-18-012호 | 2018.01.10 |
3 | KS F 4561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 (주)삼진콘크리트 파주공장 | 제KCL-18-013호 | 2018.01.10 |
환경마크제도는 동일 용도의 제품 중 생산 및 소비과정에서 오염을 상대적으로 적게 일으키거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환경마크를 표시하여 제품에 대한 정확한 환경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소비자의 선호에 부응하여 환경제품을 개발, 생산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환경마크제도는 기업과 소비자가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 소비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는 정확한 제품의 환경정보를 제공하여 환경보전활동에 참여토록 하고, 기업에게는 소비자의 친환경적 구매욕구에 부응하는 환경친화적인 제품과 기술을 개발하도록 유도하여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생활을 이루고자 하는 것입니다.